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마트홈 & IT/입문 가이드47

프로세서 TDP란 무엇인가? 전력 소모 vs 발열의 진실 CPU 사양표를 보면 흔히 등장하는 ‘TDP’라는 항목. 이를 단순히 소비 전력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전력과 발열을 동시에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TDP는 시스템 설계와 냉각 방식, 성능 유지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 TDP의 정의와 의미TDP(Thermal Design Power)는 제조사가 명시한 ‘열 설계 전력’입니다. 이는 CPU가 일반적인 사용 조건에서 방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 열량을 와트(W) 단위로 나타낸 것입니다. 즉, 이 수치를 기준으로 쿨러, 히트싱크 등 냉각 솔루션을 설계하게 됩니다.2. TDP는 소비 전력과 같은가?많은 이들이 TDP를 전력 소비량으로 착각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습니다. TDP는 냉각 설계 기준일 뿐이.. 2025. 6. 20.
멀티코어 vs 고클럭 – 어떤 CPU가 더 빠를까? CPU를 고를 때 가장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는 “코어 수가 많을수록 좋은가?” 혹은 “클럭이 높을수록 더 빠른가?”라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요소는 CPU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어떤 작업을 하느냐에 따라 중요도가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멀티코어와 고 클럭의 차이점, 각각의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CPU가 더 유리한지를 정리해 본다.1. 멀티코어와 고 클럭의 기본 개념멀티코어는 말 그대로 하나의 CPU 안에 여러 개의 코어(작업 유닛)를 갖춘 구조다. 고 클럭은 단일 코어가 더 빠른 속도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멀티코어는 '사람 수'를 늘리는 것이고, 고클럭은 '한 사람이 더 빠르게 일하는 것'이다.2. 고클럭 CPU가 유리한 작업고클럭 CPU는 단일 작업에.. 2025. 6. 18.
CPU 캐시란? L1·L2·L3 캐시가 실제 성능에 미치는 영향 CPU 사양을 보면 ‘L3 캐시 32MB’ 같은 항목이 등장한다. 하지만 이 숫자가 어떤 의미이며, 실제로 어떤 성능 차이를 만드는지는 막연하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이 글에서는 CPU 캐시의 개념부터 L1·L2·L3의 구조적 차이, 그리고 작업 성능에 끼치는 영향까지 실제 사례 중심으로 정리해 본다.1. CPU 캐시란 무엇인가?CPU 캐시는 CPU 내부에 내장된 초고속 메모리다. RAM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CPU가 자주 접근하는 정보를 미리 저장해 두는 역할을 한다. 캐시가 없다면 모든 작업 데이터를 RAM이나 저장장치에서 불러와야 해 연산 속도가 크게 떨어진다.2. L1, L2, L3 캐시의 구조적 차이CPU 캐시는 보통 L1 → L2 → L3의 3단계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2025. 6. 18.
램 속도, 클럭, 타이밍 – 숫자만 보고 어떻게 판단할까? PC를 조립하거나 노트북을 고를 때 '메모리 DDR4 3200 CL16' 같은 문장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숫자도 많고 용어도 복잡해서, 단순히 “용량만 크면 좋은 거 아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램의 성능은 단순한 용량 외에도 속도, 클럭, 타이밍이 크게 작용한다.이 글에서는 RAM 속도와 타이밍의 개념, DDR4/DDR5 기준 숫자 읽는 법, 실제 체감 차이, 그리고 구매 시 고려할 점을 정리해 드립니다.1. 램 속도란 무엇인가?RAM 속도는 일반적으로 ‘MT/s’ 또는 ‘MHz’ 단위로 표기되며, 메모리가 초당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예시: DDR4-3200 → 3200MT/s‘MHz’로 부르기도 하지만, 정확히는 초당 전송 횟수(Mega Transfers per se.. 2025. 6. 18.
NVMe vs SATA – SSD는 왜 체감이 다를까? SSD를 선택할 때 가장 많이 마주치는 단어가 NVMe와 SATA다. 둘 다 하드디스크(HDD)에 비해 압도적으로 빠르지만, 실제로 써보면 NVMe SSD가 더 빠르다는 인상을 받는 경우가 많다. 단순히 전송 속도만의 차이일까?이 글에서는 NVMe와 SATA SSD의 차이점을 구조, 속도, 체감 성능, 가격, 발열 등 여러 요소로 나눠 정리해 보겠다. 단순한 수치 비교를 넘어서 어떤 용도에 어떤 SSD가 적합한지도 함께 알아보자.1. SATA SSD란?SATA(Serial ATA) 인터페이스는 원래 하드디스크(HDD)를 위해 개발된 규격이다. SATA SSD는 이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활용하며, 물리적 형태는 2.5인치 규격이 일반적이다. 전송 속도는 이론상 최대 6 Gbps(약 600MB/s)로 제한된다.. 2025. 6. 18.
LPDDR vs DDR – 모바일과 PC 메모리의 차이점 정리 스마트폰과 노트북, 데스크탑을 비교하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LPDDR과 DDR입니다. 겉보기엔 이름이 비슷해 보여도, 이 둘은 목적과 구조, 전력 소비 등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LPDDR과 DDR 메모리의 근본적인 차이를 핵심 포인트별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LPDDR과 DDR의 기본 개념- DDR (Double Data Rate SDRAM): 일반적으로 데스크탑, 노트북에 사용되는 메모리. 모듈 형태로 장착되며, 고성능과 확장성을 중시함.- LPDDR (Low Power DDR): 모바일 기기와 초경량 노트북에 탑재되는 저전력 메모리. 전력 효율을 최우선으로 설계됨.LPDDR은 ‘Low Power’라는 단어 그대로 배터리 사용시간이 중요한 환경에서 사용되며, D.. 2025. 6.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