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홈 & IT/입문 가이드

USB PD 멀티 충전기의 함정 – 포트가 많다고 다 좋은 게 아니다

by DEVSBOX 2025. 6. 11.
반응형

요즘 하나쯤은 다 갖고 있는 USB PD 멀티 충전기.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무선 이어폰까지 한꺼번에 충전할 수 있어 정말 편리합니다. 그런데 막상 사용해 보면 “왜 충전이 느리지?”, “이거 고속 충전이 아닌가?” 하는 경험을 해본 분도 많을 겁니다.

실제로는 충전기 표면에 '65W', '100W', '3 포트 고속충전'처럼 적혀 있어도, 모든 기기를 동시에 빠르게 충전해 주는 건 아닐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USB PD 멀티 충전기의 숨겨진 제한과 꼭 확인해야 할 점들을 정리해 드립니다.

1. 총 출력은 공유된다 – 각 포트가 65W는 아님

예를 들어, ‘65W 충전기’는 모든 포트에 65W가 나오는 게 아니라 전체 합산이 65W입니다. 노트북을 45W로 충전 중일 때, 스마트폰에 남은 20W만 할당되는 구조죠.

2. 포트마다 스펙이 다를 수 있다

멀티 충전기의 모든 포트가 동일하게 PD를 지원하진 않습니다. 일부는 일반 5V만 제공하거나, 특정 포트만 PPS를 지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스펙표를 꼭 확인하세요.

출력 분배가 명확하고 보호 회로가 잘 갖춰진 PD 멀티 충전기를 찾고 있다면, 아래 제품을 참고해 보세요.

 

고속 충전과 느린 충전 상태를 비교한 스마트폰 화면
왼쪽은 스마트폰이 고속 충전 중인 모습, 오른쪽은 멀티 포트 충전기에 여러 기기를 연결해 충전 속도가 느려진 상황입니다. 충전기 사용 환경에 따른 속도 차이를 비교하는 장면입니다.

3. 연결 순서에 따라 우선순위가 바뀐다

PD 충전기는 어떤 기기를 먼저 연결했는지에 따라 전력 분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노트북을 먼저 연결하면 그쪽에 많은 전력이 할당되고, 뒤에 꽂은 스마트폰은 충전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4. 발열이 심해지면 출력이 떨어진다

여러 기기를 동시에 연결하면 충전기 자체에 발열이 발생하고, 보호 회로가 작동해 출력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특히 고출력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함께 충전할 때 자주 발생합니다.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동시에 충전하며 과열된 멀티 PD 충전기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동시에 연결한 멀티 PD 충전기에서 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고출력 기기 충전 시 발열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이미지입니다.

5. PPS 지원 여부 꼭 확인

갤럭시 시리즈처럼 PPS 고속 충전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은 충전기에서 해당 규격을 지원하지 않으면 25W 이상 속도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PD만 지원하고 PPS는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리 – 멀티 충전기 구매 전 확인할 4가지

  • 총 출력이 충분한가 (ex. 100W 이상)
  • 포트별 최대 출력은 얼마인가
  • 모든 포트가 PD 또는 PPS를 지원하는가
  • 발열 방지 구조나 보호 회로 성능이 우수한가

단순히 포트가 많다고 해서 좋은 것이 아니며, 실제 사용 환경에 맞는 전력 분배 구조와 스펙을 반드시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