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홈 & IT/입문 가이드

PC 케이블 종류 완전 정리 – 전원, 데이터, 영상 출력까지

by DEVSBOX 2025. 6. 27.
반응형

컴퓨터를 조립하거나 업그레이드할 때, 각종 케이블의 이름과 용도를 정확히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전원 케이블부터 데이터 전송, 영상 출력용 케이블까지 종류가 많고 헷갈리기 쉬운데요, 이 글에서는 PC 내부와 외부에서 사용되는 주요 케이블을 용도별로 정리해 드립니다. 초보자도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구조와 연결 방식까지 설명하겠습니다.

1. PC 내부 케이블 – 전원과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핵심

조립 PC의 핵심 구성은 전원 공급입니다. 전원 케이블은 메인보드, CPU, GPU, 저장장치 등 각각 다른 위치에 맞는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다양한 PC용 케이블 종류가 가지런히 정렬된 이미지
SATA, USB, PCIe 등 다양한 PC용 케이블이 모여 있는 실물 사진입니다.

 1-1. 24핀 메인 전원 케이블

메인보드에 가장 큰 전력을 공급하는 케이블입니다. 보통 오른쪽 측면의 24핀 커넥터에 연결되며, 필수 구성입니다.

1-2. 8핀(또는 4+4핀) CPU 보조 전원

CPU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용 보조 라인입니다. 연결하지 않으면 부팅이 되지 않으니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1-3. SATA 전원 및 데이터 케이블

SSD/HDD 저장장치에 각각 전원과 데이터를 연결합니다. 보통은 얇고 납작한 SATA 케이블이 사용됩니다.

1-4. PCIe 보조 전원 케이블

그래픽카드 전용 보조 전원으로 6핀 또는 8핀 구성이며, 고성능 GPU는 2개 이상의 포트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CPU, 메인보드, GPU에 각각 전원 케이블이 연결된 클로즈업 사진
24핀, 8핀, PCIe 전원이 실제로 연결된 마더보드와 그래픽카드 단자 모습입니다.

 2. PC 외부 케이블 – 모니터·주변기기 연결의 중심

2-1. HDMI

가장 일반적인 영상 출력 케이블입니다. 버전에 따라 4K, 8K 출력과 주사율에 차이가 있으며, 음성도 함께 전송됩니다.

HDMI 단자와 DP 단자의 구조적 차이를 나란히 비교한 이미지
HDMI와 DisplayPort 단자의 생김새 및 핀 구조를 비교한 실제 사진입니다.

 2-2. DP (DisplayPort)

고주사율 게이밍에 적합한 영상 출력 포맷으로, HDMI보다 주사율이나 대역폭이 높습니다. 특히 G-Sync 사용 시 선호됩니다.

2-3. USB-A / USB-C

주변기기 연결용으로, USB-C는 방향 자유성과 고속 데이터 전송, 충전, 영상 출력(DP Alt Mode)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USB Type-A와 Type-C 단자를 상하·정면에서 비교한 이미지
USB-A와 USB-C의 구조 및 방향 차이를 보여주는 실제 단자 비교 컷입니다.

3. 헷갈리기 쉬운 케이블 – 혼동 방지 포인트

3-1. USB-C ≠ 모두 영상 출력

USB-C라고 해서 무조건 DP Alt Mode를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노트북이나 메인보드 스펙에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3-2. HDMI to DP는 거의 불가능

방향성이 중요합니다. DP to HDMI는 가능하지만, 반대는 대부분 불가능하거나 별도의 액티브 젠더가 필요합니다.

3-3. M.2 SSD는 케이블 불필요

M.2는 슬롯에 바로 장착되며, 전원과 데이터 모두 메인보드에서 직접 공급받습니다. SATA SSD는 별도 케이블이 필요합니다.

4. 정리 및 추천 –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까?

용도 추천 케이블 체크 포인트
저장장치 연결 SATA, M.2 메인보드 슬롯 종류 확인
모니터 연결 HDMI, DP 해상도/주사율 대응 확인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 PCIe 8핀 이상 파워 출력과 핀 구성 체크
노트북 영상 출력 USB-C (DP Alt) 스펙상 출력 지원 여부 확인

제안

PC 케이블은 단순한 연결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각각의 용도를 정확히 알고 구성하면 성능과 안정성 모두 확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상 출력용 케이블은 버전별 지원 범위가 달라 헷갈리기 쉬우므로, 구매 전 명확한 사양 비교와 인증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실물 구조와 이름을 정확히 알면, 고장이나 호환성 문제도 줄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