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마트홈을 구축할 때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 중 하나는 IoT 기기들의 연결 방식입니다. Wi-Fi, Zigbee, Bluetooth… 모두 들어본 기술이지만 각각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상황에 적합한지 헷갈리기 마련입니다. 이 글에서는 IoT 연결 방식의 특성과 선택 기준을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1. IoT 연결 방식의 핵심 개념
스마트홈에서 기기들은 주로 아래 3가지 방식 중 하나로 연결됩니다.
- Wi-Fi: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와 직접 연결됩니다.
- Zigbee: 저전력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허브를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합니다.
- Bluetooth: 짧은 거리의 저전력 통신에 유리하며, 일부 전구나 리모컨 등 단일 기기 제어에 적합합니다.
2. 연결 방식 비교표
항목 | Wi-Fi | Zigbee | Bluetooth |
---|---|---|---|
연결 거리 | 10~30m (공유기 의존) | 10~20m (메시 확장) | 5~10m (직접 연결) |
소비 전력 | 높음 | 매우 낮음 | 낮음 |
속도/응답성 | 빠름 | 중간 | 빠름 |
허브 필요 여부 | 불필요 | 필요 | 불필요 |
스마트홈 확장성 | 제한적 | 높음 | 낮음 |
3. 연결 구조 예시 이미지


4. 연결 방식별 추천 제품 예시
- Wi-Fi 기반: 샤오미 스마트 플러그, 삼성 스마트 에어컨
- Zigbee 기반: 아카라 모션 센서, 이케아 트라드프리 전구
- Bluetooth 기반: 필립스 휴 블루투스 전구, 스마트 체중계
반응형
'스마트홈 & IT > 입문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주사율 vs 응답속도 – 게이머가 꼭 알아야 할 차이 (0) | 2025.06.06 |
---|---|
스마트홈 기기 배터리 교체 vs 유선 연결 – 어떤 게 더 효율적일까? (0) | 2025.06.04 |
IoT 기기 선택 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 실패 없는 스마트홈 시작법< (0) | 2025.05.19 |
스마트싱스 없이도 자동화 가능할까? 대안 플랫폼 3가지 비교 (1) | 2025.05.19 |
스마트싱스 자동화 설정 예시 5가지 – 이렇게 쓰면 진짜 편해집니다 (2) | 2025.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