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홈 & IT/입문 가이드

IoT 연결 방식 완전 정리 – Wi-Fi, Zigbee, Bluetooth 차이점과 선택 기준

by DEVSBOX 2025. 6. 4.
반응형

스마트홈을 구축할 때 가장 혼란스러운 부분 중 하나는 IoT 기기들의 연결 방식입니다. Wi-Fi, Zigbee, Bluetooth… 모두 들어본 기술이지만 각각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상황에 적합한지 헷갈리기 마련입니다. 이 글에서는 IoT 연결 방식의 특성과 선택 기준을 명확히 정리해 드립니다.

1. IoT 연결 방식의 핵심 개념

스마트홈에서 기기들은 주로 아래 3가지 방식 중 하나로 연결됩니다.

  • Wi-Fi: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인터넷 공유기를 통해 스마트폰이나 클라우드와 직접 연결됩니다.
  • Zigbee: 저전력 메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허브를 통해 다양한 기기를 유기적으로 연결합니다.
  • Bluetooth: 짧은 거리의 저전력 통신에 유리하며, 일부 전구나 리모컨 등 단일 기기 제어에 적합합니다.

2. 연결 방식 비교표

항목 Wi-Fi Zigbee Bluetooth
연결 거리 10~30m (공유기 의존) 10~20m (메시 확장) 5~10m (직접 연결)
소비 전력 높음 매우 낮음 낮음
속도/응답성 빠름 중간 빠름
허브 필요 여부 불필요 필요 불필요
스마트홈 확장성 제한적 높음 낮음

3. 연결 구조 예시 이미지

스마트폰 기준으로 IoT 기기들과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 일러스트
스마트홈 연결 구조를 간단히 표현한 도식 이미지입니다. 실제 제품 구성과는 다를 수 있으며,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입니다.
허브를 중심으로 다양한 IoT 기기들이 연결된 구조의 예시 이미지
스마트폰과 Wi-Fi 및 Bluetooth 기기 간의 연결을 간단히 표현한 도식 이미지입니다. 마찬가지로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용입니다.

4. 연결 방식별 추천 제품 예시

  • Wi-Fi 기반: 샤오미 스마트 플러그, 삼성 스마트 에어컨
  • Zigbee 기반: 아카라 모션 센서, 이케아 트라드프리 전구
  • Bluetooth 기반: 필립스 휴 블루투스 전구, 스마트 체중계
반응형